m.2 외장 하드케이스 주문시 주의할점
·
생활상식
최근 m2 드라이브의 가격하락으로 많은 분들이 외장 하드케이스를 이용해 usb처럼? 사용할 것이라 생각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주의할점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외장하드 M.2는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외부 저장 장치 중 하나로, M.2 슬롯에 설치되는 형태의 외장하드입니다. M.2는 기존의 2.5인치 하드디스크와는 달리 더 작고, 더 빠른 전송 속도를 가지는 SSD(Solid State Drive)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SSD를 M.2 포맷으로 만들어진 카드 형태로 외장하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외장하드 M.2는 일반적으로 USB 연결 방식의 외장하드보다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하며, 더 작고 가벼우며, 더 효율적으로 전력을 소비합니다. 또한, 내부에 있는 SSD가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민감할 수 있는 2..
Docker 마운트에 대하여
·
Programming/Etc
도커 마운트는 도커 컨테이너와 호스트 시스템 간에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공유하는 방법입니다. 도커 마운트는 컨테이너의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하거나, 컨테이너와 호스트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컨테이너의 설정을 변경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커 마운트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바인드 마운트와 볼륨 마운트입니다. 바인드 마운트는 호스트 시스템의 임의의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컨테이너의 특정 위치에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바인드 마운트는 호스트 시스템과 컨테이너 간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동기화하며, 호스트 시스템에서 접근할 수 있는 모든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인드 마운트는 호스트 시스템에 의존적이며, 보안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볼륨 마운..
자주 사용하는 리눅스 단축키 정리
·
Programming/Etc
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명령어가 낯설어 여기 저기 단축키를 검색하는 경우가 있는데 아래는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ls: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폴더 목록을 보여줍니다. cd: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 pwd: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합니다. mkdir: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rmdir: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touch: 빈 파일을 생성하거나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을 변경합니다. cat: 파일의 내용을 출력합니다. rm: 파일을 삭제합니다. mv: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합니다. cp: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합니다. ps: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출력합니다. top: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
헥사고날 아키텍처란??
·
Programming/Etc
헥사고날(Hexagonal)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서로 독립적인 모듈(module)로 구성되는 아키텍처 디자인 패턴 중 하나입니다. 이 아키텍처 패턴은 DDD(Domain-Driven Design)과 유사한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구조와 설계를 단순화하고 유연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헥사고날 아키텍처에서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내부 도메인(Core Domain)과 외부 도메인(Outer Domain)으로 구분합니다. 내부 도메인은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하고, 외부 도메인은 UI(User Interface)와 같은 외부 요소를 포함합니다. 내부 도메인은 외부 도메인에 의존하지 않으며, 외부 도메인에서는 내부 도메인에 대한 의존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
Windows에서 SSH 키 만드는 방법
·
Programming/Etc
Windows에서 SSH 키를 만들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가 필요합니다. Windows용 SSH 클라이언트 설치 Windows 운영체제에서 SSH 연결을 위해서는 SSH 클라이언트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으로 PuTTY나 Git Bash 등의 SSH 클라이언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uTTY는 GUI 기반의 SSH 클라이언트로, Git Bash는 Git for Windows 패키지 내에 포함된 Bash 쉘 환경에서 SSH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는 유틸리티입니다. 둘 중에 하나를 설치하시면 됩니다. SSH 키 생성 SSH 클라이언트를 설치한 후에는 SSH 키를 생성해야 합니다. 키 생성을 위해서는 다음의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sh-keygen -t rsa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SS..
DB 더미 데이터 만드는 방법
·
Programming
더미 데이터란 테스트용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특정한 목적이나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한 양과 내용으로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를 대체하여 시뮬레이션하거나, 테스트를 위해 사용됩니다. 조회 같은 쿼리 테스트를 할 때 해당 컬럼의 데이터가 많을 경우 속도가 느려지는 테스트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더미 데이터를 만드는 작업이 있을 수 있는데 아래와 같이 하면 쿼리를 수행하면서 2n승만큼 데이터를 쌓을 수 있습니다. 더미 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테이블에 삽입하고자 하는 값과 동일한 형식의 레코드를 SELECT문으로 가져와서 INSERT문으로 삽입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table"이라는 테이블에 "column1"과 "column2"라는 두 개의 컬럼이 있다..
Java Map의 초기용량을 설정해야 하는 이유
·
Programming/Java Spring
Map을 쓸 때 Map의 초기 용량을 설정하지 않으면 런타임 시동적으로 용량이 확장되어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Map을 선언할 때 초기 용량을 설정하여 성능을 개선합니다. Map move = new HashMap(32); HashMap은 내부적으로 배열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 배열의 크기를 동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합니다. 배열의 크기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은 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초기 용량을 충분히 설정하여 배열 크기를 자주 변경하지 않도록 합니다. HashMap의 초기 용량을 설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인 16이 사용됩니다. 초기 용량은 저장할 데이터의 양에 따라 다르게 설정해야 하므로, 정확한 값은 실험적으로 결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다룰 때, 초기 용량을 충분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