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out 매개변수: 개념, 사용법, 예제 및 ref와의 명확한 차이점
·
Programming/C# WPF
C#에서 메서드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값만 반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메서드 실행 결과로 여러 개의 값을 얻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값과 함께 연산의 성공 여부 또는 상태 코드를 반환해야 하는 경우가 그렇죠. 이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키워드가 바로 out 매개변수 한정자입니다. out 키워드는 메서드가 호출자에게 여러 값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메커니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C#의 out 키워드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리고 비슷한 역할을 하는 ref 키워드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예제를 통해 명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out` 키워드란 무엇인가? out은 C#에서 메서드의 매개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매개변수 한정자(param..
C# WPF에서 StaticResource와 DynamicResource의 차이점과 활용 방법
·
Programming/C# WPF
C# WPF에서 StaticResource와 DynamicResource의 차이점과 활용 방법 WPF에서 **리소스(Resource)**는 UI의 스타일, 색상, 템플릿 등을 정의하고 재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WPF에서는 리소스를 참조할 때 StaticResource와 DynamicResource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두 방식은 리소스를 찾고 적용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으며, 성능과 동작 방식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icResource**와 **DynamicResource**의 차이점, 사용 사례, 그리고 언제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StaticResource란? StaticResource는..
WPF의 IMultiValueConverter와 IValueConverter: 차이점, 장단점, 그리고 활용 방법
·
Programming/C# WPF
WPF의 IMultiValueConverter와 IValueConverter: 차이점, 장단점, 그리고 활용 방법 WPF(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에서는 데이터 바인딩(Data Binding)을 통해 UI와 비즈니스 로직 간의 상호작용을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형식이나 값의 변환이 필요한 경우, **IValueConverter**와 **IMultiValueConverter**를 사용하여 바인딩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인터페이스의 차이점, 장단점,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적합한지를 자세히 알아봅니다. 1. IValueConverter란? **IValueConverter**는 단일 바인딩에서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역변환하..
MySQL에서 현재 접속한 사용자와 IP 확인하기: SHOW PROCESSLIST 명령어
·
Programming
MySQL에서 현재 접속한 사용자와 IP 확인하기: SHOW PROCESSLIST 명령어 완벽 가이드 데이터베이스 서버 관리자는 종종 현재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한 사용자와 해당 사용자의 IP 주소를 확인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합니다. MySQL에서는 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인 SHOW PROCESSLIST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SHOW PROCESSLIST 명령어의 개념, 사용 방법, 주요 필드, 그리고 활용 사례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SHOW PROCESSLIST란? SHOW PROCESSLIST는 현재 MySQL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와 실행 중인 쿼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이를 통해: 현재 접속 중인 클라이언트의 **IP 주소**와 **사용자명**..
Kotlin의 Sealed Class: 개념, 활용법, 그리고 실용적인 사용 예제
·
Programming
Kotlin의 Sealed Class: 개념, 활용법, 그리고 실용적인 사용 예제 Sealed Class는 Kotlin에서 제공하는 고급 기능 중 하나로, 타입 계층을 안전하게 설계하고 활용할 수 있는 클래스입니다. 특히 **타입의 제한된 집합**을 정의할 때 유용하며, 복잡한 상태 관리나 데이터 모델링을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ealed Class의 개념과 동작 원리, 활용법, 그리고 실용적인 예제를 통해 어떻게 코드를 더욱 안전하고 읽기 쉽게 만들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Sealed Class란? **Sealed Class**는 봉인된 클래스라는 뜻으로, 클래스 계층을 제한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Sealed Class를 사용하면 상속 가능한 하위 클래스들을..
continue, break, return: 조건문에서의 차이와 활용 방법
·
Programming
continue, break, return: 조건문에서의 차이와 활용 방법 프로그래밍에서 조건문과 반복문은 코드 흐름을 제어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이 중에서도 continue, break, return은 코드 실행을 특정 조건에 따라 제어하는 중요한 키워드입니다. 이 글에서는 각 키워드의 동작 원리와 차이점을 살펴보고, 실사용 예제를 통해 활용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continue continue는 반복문에서 현재 반복(iteration)을 건너뛰고, 다음 반복으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즉, 반복문은 계속 진행되지만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현재 작업은 스킵됩니다. 사용 예시 다음은 숫자 리스트에서 짝수를 건너뛰고 홀수만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 Python 예제numbers =..
MAU, DAU, ARPU: 인터넷 서비스 지표의 이해와 활용
·
Programming/Etc
MAU, DAU, ARPU: 인터넷 서비스 지표의 이해와 활용 인터넷 서비스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성과를 평가할 때 **MAU(Monthly Active Users)**, **DAU(Daily Active Users)**, 그리고 **ARPU(Average Revenue Per User)**와 같은 지표가 자주 사용됩니다. 이러한 지표는 서비스의 사용자 참여도와 수익성을 분석하는 데 필수적이며, 비즈니스의 성장 전략을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MAU와 관련된 주요 지표와 그 의미,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인터넷 비즈니스의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MAU란? **MAU(Monthly Active Users)**는 한 달 동안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