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out 매개변수: 개념, 사용법, 예제 및 ref와의 명확한 차이점
·
Programming/C# WPF
C#에서 메서드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값만 반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메서드 실행 결과로 여러 개의 값을 얻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값과 함께 연산의 성공 여부 또는 상태 코드를 반환해야 하는 경우가 그렇죠. 이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키워드가 바로 out 매개변수 한정자입니다. out 키워드는 메서드가 호출자에게 여러 값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메커니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C#의 out 키워드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리고 비슷한 역할을 하는 ref 키워드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예제를 통해 명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out` 키워드란 무엇인가? out은 C#에서 메서드의 매개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매개변수 한정자(param..
C# WPF에서 StaticResource와 DynamicResource의 차이점과 활용 방법
·
Programming/C# WPF
C# WPF에서 StaticResource와 DynamicResource의 차이점과 활용 방법 WPF에서 **리소스(Resource)**는 UI의 스타일, 색상, 템플릿 등을 정의하고 재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WPF에서는 리소스를 참조할 때 StaticResource와 DynamicResource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두 방식은 리소스를 찾고 적용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으며, 성능과 동작 방식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icResource**와 **DynamicResource**의 차이점, 사용 사례, 그리고 언제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StaticResource란? StaticResource는..
WPF의 IMultiValueConverter와 IValueConverter: 차이점, 장단점, 그리고 활용 방법
·
Programming/C# WPF
WPF의 IMultiValueConverter와 IValueConverter: 차이점, 장단점, 그리고 활용 방법 WPF(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에서는 데이터 바인딩(Data Binding)을 통해 UI와 비즈니스 로직 간의 상호작용을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형식이나 값의 변환이 필요한 경우, **IValueConverter**와 **IMultiValueConverter**를 사용하여 바인딩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인터페이스의 차이점, 장단점,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적합한지를 자세히 알아봅니다. 1. IValueConverter란? **IValueConverter**는 단일 바인딩에서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역변환하..
WPF .NET과 .NET Framework 차이
·
Programming/C# WPF
WPF(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프로젝트를 만들 때 .NET 8.0과 .NET Framework 4.x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이유는 이 두 가지 플랫폼이 각각 다른 특징과 사용 사례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두 플랫폼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하겠습니다. .NET 8.0최신 기술 스택: .NET 8.0은 최신 .NET 버전으로, 성능과 보안 측면에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최신 기능과 업데이트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NET 8.0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크로스 플랫폼 지원: .NET 8.0은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합니다. 즉, Windows뿐만 아니라 macOS, Linux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통합된 플랫폼: .NET Core, .NET 5..
MVVM 패턴에서의 명확한 역할 분리 방법
·
Programming/C# WPF
WPF에서 MVVM 패턴을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View는 단일 ViewModel을 참조하고, ViewModel은 단일 View를 참조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는 MVVM 패턴의 명확한 역할 분리를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View가 여러 ViewModel을 참조하거나 ViewModel이 여러 View를 참조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View가 여러 ViewModel을 참조하는 경우View가 여러 ViewModel을 참조해야 하는 경우, DataContext를 설정하거나 여러 ViewModel을 리소스로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 WPF] Button Style Custom 방법
·
Programming/C# WPF
WPF의 기본적인 버튼 스타일을 Custom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할께요. 일반적으로 WPF의 기본 Form들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기본 스타일이 적용돼 있습니다. 이를 확인하려면 해당 마이크로소프트의(https://docs.microsoft.com/ko-kr/dotnet/framework/wpf/controls/control-styles-and-templates) 문서를 확인해서 여기에 해당하는 스타일을 수정해주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WPF는 MVVM 패턴에 최적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생각합니다. 간단하게 화면과 동작의 의존성을 최대한 분리했습니다. 종종 화면에서도 동작을 제어할 수 있지만 되도록 동작은 ViewModel에서 하는 것이 유지 보수 측면에서도 더 나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기본..
[C# WPF] ICommand를 활용한 버튼 커맨드 방법
·
Programming/C# WPF
이번에는 WPF에서 없어서는 안될 기능 중 하나인 ICommand에 대해서 설명해보려 합니다. 일반적으로 ICoomand는 .xaml파일에서 버튼, 라디오 버튼 체크박스 버튼 등 버튼과 관련된 커맨드의 동작을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아래 예제는 간단하게 버튼을 생성하고 RelayCommand라는 클래스에 ICommand를 상속받아서 버튼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코드를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RelayCommand예제는(https://www.codeproject.com/Tips/813345/Basic-MVVM-and-ICommand-Usage-Example) 사이트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먼저 간단하게 버튼을 하나 만들고 위와 같이 Command로 바인딩 할 객체를 생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