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CD 완벽 가이드 - 지속적 통합과 배포 자동화
·
카테고리 없음
CI/CD란?CI/CD는 Continuous Integration(지속적 통합)과 Continuous Delivery/Deployment(지속적 전달/배포)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코드를 프로덕션에 배포하는 방법론입니다.CI (Continuous Integration) - 지속적 통합핵심 개념CI는 개발자들이 작성한 코드를 공유 저장소에 자주 병합하고, 자동으로 빌드 및 테스트하는 프로세스입니다.주요 이점빠른 버그 발견: 코드 변경 시마다 자동 테스트가 실행되어 문제를 조기에 발견통합 문제 감소: 작은 단위로 자주 통합하여 큰 충돌 방지코드 품질 향상: 자동화된 코드 리뷰와 정적 분석 도구 활용개발 속도 증가: 수동 통합 시간 절약CI 프로세스1. 개발자가 ..
Keycloak 시작하기 - 오픈소스 IAM 솔루션 완벽 가이드
·
카테고리 없음
Keycloak이란?Keycloak은 Red Hat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IAM) 솔루션입니다. 최신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위한 인증 및 권한 부여 기능을 제공하며, Single Sign-On (SSO), 소셜 로그인, 사용자 페더레이션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합니다.주요 특징1. Single Sign-On (SSO)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애플리케이션 접근 가능SAML 2.0, OpenID Connect 프로토콜 지원세션 관리 및 로그아웃 기능2. 표준 프로토콜 지원OpenID Connect: OAuth 2.0 기반의 인증 레이어OAuth 2.0: 권한 부여 프레임워크SAML 2.0: 엔터프라이즈 SSO 표준3. 소셜 로그인Google, Faceb..
Apache Kafka 완벽 가이드 - 대용량 메시지 처리의 핵심
·
카테고리 없음
Apache Kafka란?Apache Kafka는 LinkedIn에서 개발한 분산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대용량의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을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현재는 Apache 재단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운영되며, Netflix, Uber, Airbnb 등 수많은 글로벌 기업에서 핵심 인프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Kafka의 핵심 개념1. 메시징 시스템의 진화전통적인 메시징 시스템(RabbitMQ, ActiveMQ)과 달리 Kafka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높은 처리량: 초당 수백만 건의 메시지 처리 가능- 확장성: 클러스터에 브로커를 추가하여 수평 확장- 내구성: 디스크에 메시지를 저장하여 데이터 손실 방지- 분산 처리: 여러 서버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2. Kafka 아키텍..
C# out 매개변수: 개념, 사용법, 예제 및 ref와의 명확한 차이점
·
Programming/C# WPF
C#에서 메서드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값만 반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메서드 실행 결과로 여러 개의 값을 얻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값과 함께 연산의 성공 여부 또는 상태 코드를 반환해야 하는 경우가 그렇죠. 이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키워드가 바로 out 매개변수 한정자입니다. out 키워드는 메서드가 호출자에게 여러 값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메커니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C#의 out 키워드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리고 비슷한 역할을 하는 ref 키워드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예제를 통해 명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out` 키워드란 무엇인가? out은 C#에서 메서드의 매개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매개변수 한정자(param..
C# WPF에서 StaticResource와 DynamicResource의 차이점과 활용 방법
·
Programming/C# WPF
C# WPF에서 StaticResource와 DynamicResource의 차이점과 활용 방법 WPF에서 **리소스(Resource)**는 UI의 스타일, 색상, 템플릿 등을 정의하고 재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WPF에서는 리소스를 참조할 때 StaticResource와 DynamicResource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두 방식은 리소스를 찾고 적용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으며, 성능과 동작 방식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icResource**와 **DynamicResource**의 차이점, 사용 사례, 그리고 언제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StaticResource란? StaticResource는..
XAML에서 색상 설정 시 8자리 HEX 값의 의미: 투명도와 ARGB 포맷 이해
·
카테고리 없음
XAML에서 색상 설정 시 8자리 HEX 값의 의미: 투명도와 ARGB 포맷 이해 XAML에서 색상을 설정할 때 흔히 **HEX 값**을 사용합니다. 이때 6자리 형식(#RRGGBB) 뿐만 아니라, 8자리 형식(#AARRGGBB)을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발견할 수 있습니다. 특히, 8자리 HEX 값은 색상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Alpha 채널(A)** 값을 포함하고 있어 더욱 정밀한 색상 표현이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8자리 HEX 값의 의미와 구조, 그리고 이를 활용한 투명도 설정 방법을 자세히 알아봅니다. 1. HEX 색상 코드란? HEX 색상 코드는 **16진수 표기법**으로 색상을 정의합니다. 이는 RGB(Red, Green, Blue)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색상의 각 구성 요소를 두..
WPF XAML의 주요 바인딩 옵션: TemplateBinding, StaticResource, DynamicResource와 그 외 설정들
·
카테고리 없음
WPF XAML의 주요 바인딩 옵션: TemplateBinding, StaticResource, DynamicResource와 그 외 설정들 WPF(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에서 XAML은 UI를 선언적으로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XAML은 다양한 바인딩 옵션과 리소스 참조 방식을 제공하여 UI 요소 간 데이터 연결, 스타일 지정, 동적 리소스 활용 등을 지원합니다. 이 글에서는 WPF XAML에서 자주 사용되는 **TemplateBinding**, **StaticResource**, **DynamicResource**뿐만 아니라 **RelativeSource**, **Binding** 등 추가적인 설정을 자세히 다룹니다. 1. StaticResource **S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