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CD란?
CI/CD는 Continuous Integration(지속적 통합)과 Continuous Delivery/Deployment(지속적 전달/배포)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코드를 프로덕션에 배포하는 방법론입니다.
CI (Continuous Integration) - 지속적 통합
핵심 개념
CI는 개발자들이 작성한 코드를 공유 저장소에 자주 병합하고, 자동으로 빌드 및 테스트하는 프로세스입니다.
주요 이점
- 빠른 버그 발견: 코드 변경 시마다 자동 테스트가 실행되어 문제를 조기에 발견
- 통합 문제 감소: 작은 단위로 자주 통합하여 큰 충돌 방지
- 코드 품질 향상: 자동화된 코드 리뷰와 정적 분석 도구 활용
- 개발 속도 증가: 수동 통합 시간 절약
CI 프로세스
1. 개발자가 코드 커밋 및 푸시
↓
2. CI 서버가 변경 감지
↓
3. 자동 빌드 실행
↓
4. 자동 테스트 실행
↓
5. 결과 리포트 생성
↓
6. 실패 시 개발자에게 알림
CD (Continuous Delivery/Deployment) - 지속적 전달/배포
Continuous Delivery (지속적 전달)
빌드와 테스트를 자동화하여 언제든지 프로덕션에 배포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지만, 실제 배포는 수동으로 진행합니다.
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 배포)
모든 변경 사항이 테스트를 통과하면 자동으로 프로덕션에 배포됩니다.
CD의 이점
- 빠른 출시: 기능을 더 빠르게 사용자에게 제공
- 위험 감소: 작은 단위로 자주 배포하여 롤백이 쉬움
- 피드백 주기 단축: 사용자 반응을 빠르게 확인하고 개선
- 자동화된 배포: 인적 오류 감소
주요 CI/CD 도구
1. Jenkins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CI/CD 도구입니다.
장점:
- 풍부한 플러그인 생태계 (1,800개 이상)
- 높은 커스터마이징 가능성
- 자체 호스팅 가능
기본 설정 예시:
pipeline {
agent any
stages {
stage('Build') {
steps {
sh 'npm install'
sh 'npm run build'
}
}
stage('Test') {
steps {
sh 'npm test'
}
}
stage('Deploy') {
steps {
sh './deploy.sh'
}
}
}
}
2. GitHub Actions
GitHub에 통합된 CI/CD 플랫폼으로, 리포지토리에서 직접 워크플로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장점:
- GitHub과 완벽한 통합
- YAML 기반의 간단한 설정
- 무료 티어 제공 (public 리포지토리)
워크플로우 예시:
name: CI/CD Pipeline
on:
push:
branches: [ main ]
pull_request:
branches: [ main ]
jobs:
build-and-test:
runs-on: ubuntu-latest
steps:
- uses: actions/checkout@v3
- name: Setup Node.js
uses: actions/setup-node@v3
with:
node-version: '18'
- name: Install dependencies
run: npm ci
- name: Run tests
run: npm test
- name: Build
run: npm run build
- name: Deploy
if: github.ref == 'refs/heads/main'
run: |
echo "Deploying to production..."
npm run deploy
3. GitLab CI/CD
GitLab에 내장된 CI/CD 솔루션입니다.
장점:
- GitLab과 완벽한 통합
- Auto DevOps 기능
-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내장
4. CircleCI
클라우드 기반 CI/CD 서비스입니다.
장점:
- 빠른 빌드 속도
- Docker 지원
- 병렬 처리 최적화
CI/CD 파이프라인 구축 Best Practices
1. 작은 단위로 자주 커밋
# 좋은 예
git commit -m "Add user login validation"
git commit -m "Fix password encryption bug"
# 나쁜 예 (한 번에 너무 많은 변경)
git commit -m "Complete user authentication system"
2. 자동화된 테스트 작성
// 단위 테스트 예시
describe('User Service', () => {
test('should create new user', async () => {
const user = await createUser({
email: 'test@example.com',
password: 'securePassword123'
});
expect(user).toBeDefined();
expect(user.email).toBe('test@example.com');
});
});
3. 환경 변수 관리
# .env.example
DATABASE_URL=postgresql://localhost:5432/mydb
API_KEY=your_api_key_here
NODE_ENV=development
환경별 설정을 분리하고, 민감한 정보는 절대 코드에 포함하지 마세요.
4. 빌드 캐싱 활용
# GitHub Actions 캐싱 예시
- name: Cache dependencies
uses: actions/cache@v3
with:
path: ~/.npm
key: ${{ runner.os }}-node-${{ hashFiles('**/package-lock.json') }}
restore-keys: |
${{ runner.os }}-node-
5. 단계별 배포 (Blue-Green, Canary)
- Blue-Green 배포: 두 개의 동일한 환경을 유지하고 전환
- Canary 배포: 일부 사용자에게만 먼저 배포하여 검증
CI/CD 도입 시 주의사항
1. 테스트 커버리지 확보
CI/CD의 효과를 최대화하려면 충분한 테스트 커버리지(최소 70-80%)가 필요합니다.
2. 빌드 시간 최적화
- 불필요한 단계 제거
- 병렬 처리 활용
- 캐싱 전략 수립
3. 보안 고려
- 비밀번호, API 키 등은 환경 변수나 시크릿 관리 도구 사용
- 의존성 취약점 스캔
- 코드 정적 분석 도구 활용
4. 모니터링 및 알림
파이프라인 실패 시 즉시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세요.
실제 프로젝트 적용 예시
Node.js + Docker + Kubernetes
# .github/workflows/deploy.yml
name: Deploy to Kubernetes
on:
push:
branches: [ main ]
jobs:
build-and-deploy:
runs-on: ubuntu-latest
steps:
- uses: actions/checkout@v3
- name: Build Docker image
run: docker build -t myapp:${{ github.sha }} .
- name: Push to registry
run: |
echo ${{ secrets.DOCKER_PASSWORD }} | docker login -u ${{ secrets.DOCKER_USERNAME }} --password-stdin
docker push myapp:${{ github.sha }}
- name: Deploy to Kubernetes
run: |
kubectl set image deployment/myapp myapp=myapp:${{ github.sha }}
kubectl rollout status deployment/myapp
결론
CI/CD는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초기 설정에는 시간이 걸리지만, 장기적으로 개발 속도 향상, 버그 감소, 안정적인 배포를 가능하게 합니다.
작은 프로젝트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CI/CD 파이프라인을 개선해 나가는 것을 권장합니다. GitHub Actions나 GitLab CI/CD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비교적 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시작이 반입니다. 오늘부터 CI/CD를 도입해보세요!